레이오그래프의 창시자, 만 레이 포토그램

만 레이 그리고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만 레이 포토그램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만 레이, 미국인 포토그래퍼와 페인터

1890년에 태어난 만 레이(Man Ray)는 대부분의 경력을 파리에서 보낸 미국 시각 예술가였다. 그는 다다이즘(Dada)과 초현실주의(Surrealism) 운동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이다.

이러한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지만, 그는 개인적, 예술적 자유에 깊이 헌신한 독창적인 반항아로 가장 잘 묘사된다. 만 레이는 전통적인 회화를 포기하고 급진적인 다다 운동에 몰두했다. 그는 The Ridgefield Gazook(1915)과 TNT(1919)라는 두 개의 다다이즘 잡지를 발행했으며, 후자는 아돌프 울프(Adolf Wolff)와 미첼 도슨(Mitchell Dawson)과 공동 편집했다.

그는 사물 제작에 뛰어들었고 독창적인 기계적 및 사진적 방법을 통해 이미지를 창조하기 시작했다. 다다와 초현실주의 운동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그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예술을 창조하려는 도전에 직면했다.

만 레이 포토그램, 레이오그래프란?

만 레이 레이오그래프 포토그램 다다이즘

Ray, Man. Untitled Rayograph, 1922. gelatin silver photogram, 23.5 x 17.8 cm

“만 레이는 1921년 현상 트레이에서 노출된 사진 용지와 노출되지 않은 사진 용지를 실수로 섞으면서 레이오그래프(rayograph) 기법을 우연히 발견했다. 감광지에서 이미지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던 중, 몇 가지 물체(아마도 종이 누름돌로 사용하려던 물체들)를 위에 올려놓고 불을 켰다. 종이에 나타나기 시작한 물체의 윤곽은 카메라뿐만 아니라 사진 필름도 필요하지 않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이미지였다. 물체의 그림자나 잔상이 빛을 통해 감광지 위에 직접적으로 새겨진 것이다.” (Fotiade, 90).

만 레이 포토그램 (레이오그래프) 포트폴리오, Les Champs Délicieux(맛있는 들판)

만 레이 레이오그래프 포토그램만 레이 레이오그래프 포토이즘 초현실주의

Ray, Man, and Tristan Tzara. “Les Champs Délicieux”, 1922.

1922년, 트리스탄 차라(Tzara)는 카메라 없이 촬영된 사진 포트폴리오 Les Champs Délicieux(맛있는 들판) 서문에서 만 레이의 레이오그래프(rayograph)를 극찬했다. 흑백의 구성, 사진 규정의 균일한 간격, 깊이감을 만드는 대비, 그리고 인쇄물 앞의 바느질 선은 맨 레이 작품의 가장 독특한 특징으로 꼽힌다.

1923년, 프랑스 시인 로베르 데스노스(Robert Desnos)는 레이오그래프의 즉흥적인 아름다움을 시에 비유하며 추상과 현실주의를 혼합한 점을 찬양했다. 레이오그래프의 신선함이 점차 감소했음에도, 초상화 및 패션 사진작가로서 만 레이의 상승하는 예술적·사회적 위상은 그에게 경제적 안정과 회화 및 기타 예술적 활동에 집중할 자유를 제공했다.

초현실주의 예술가의 책을 출판하는 과정에서 제본은 초현실주의 책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다. 초현실주의 책들은 종종 한정된 부수로 인쇄되었으며, 일부 텍스트는 처음에는 삽화 없이 출판되었다가 나중에 삽화를 추가한 고급판으로 출시되었다. 제본은 이러한 책들을 물질적·상업적 객체로 격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일부 초현실주의자들은 폴 보네(Paul Bonet)와 같은 장인들에게 맞춤형 제본을 의뢰하기도 했다(Adamowicz 272).

만 레이, Facile(1935), 레이오그래프

만 레이 레이오그래프 포토그램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Eluard, et al. “Facile by Paul Eluard, Man Ray on Triolet Rare Books, 1935.

1935년에 출판된 Facile에서는 엘뤼아르(Éluard)의 다섯 편의 시가 그의 아내이자 모델인 누슈(Nusch)의 누드 사진 11점과 함께 실렸다. 만 레이는 자르기, 네거티브 인쇄, 과다 노출, 다중 노출, 그리고 솔러리제이션 같은 기술을 활용해 누슈의 누드 형태를 초현실적이고 단편화된 주제로 변형시켰고, 그녀의 형상을 탈자연화했다. 엘뤼아르의 시는 은유적으로 누슈의 이미지를 확장하고 드러내며 감추는 방식으로 이를 보완해 텍스트와 이미지 간의 대화를 만들어냈다. 사진의 최소한의 윤곽선과 시적 텍스트의 상호작용은 인물과 인쇄된 페이지 사이의 경계를 흐리며 초현실적 효과를 강화했다.

만 레이 그리고 다른 초현실주의 작가들과의 인쇄 차이점

호안 미로(Joan Miró)와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í)와 같은 다른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의 책과 비교했을 때, 만 레이는 텍스트와 사진의 매끄러운 구성을 이룬 예술 서적을 창작했다. 독일 예술가 한스 벨머(Hans Bellmer)와 엘뤼아르가 출판한 Les jeux de la poupée(1949)에서는 엘뤼아르가 15장의 손으로 채색한 은 젤라틴 프린트를 선택하고 짧은 시적 텍스트를 추가했다. 텍스트와 사진은 분리되어 사진은 오른쪽 페이지에, 텍스트는 왼쪽 페이지 하단에 인쇄되었다(Adamowicz 284). 그러나 만 레이의 여성 누드 이미지는 책장을 넘길 때 항상 인쇄물의 적절한 위치에 중심을 이루었다. “신체 윤곽의 최소화는 그것을 그래픽 기호로 축소하며, 이는 텍스트 윤곽과 공명하고, 과다 노출된 사진은 인물과 인쇄된 페이지를 하나로 융합한다(Adamowicz 282).”

레이오그래프의 발견은 만 레이에게 혁신적이었으며 그를 유명하고 성공적으로 만들었다. “레이오그래프는 만 레이를 유명 인사로 만들어주었다. 그는 패션 파티, 콘서트, 갤러리 오프닝에 초대받았으며, 파리의 악명 높은 모델 키키(Kiki)를 포함한 패셔너블한 젊은 여성들에게 환영받았다(Adamowicz).” 레이오그래프, 또는 포토그램이라고도 알려진 맨 레이의 발명품은 초현실주의 활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패션 사진에서 만 레이는 클로즈 크로핑, 솔러리제이션, 레이오그래프 기술을 활용해 상업적 출판물에서 네거티브 공간을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업은 추상과 현실을 능숙하게 융합하며 사진과 기타 시각 예술 간의 경계를 흐렸다.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진작가들이 맨 레이의 기법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MLA Style)

만 레이의 영어버전이 궁금하다면?

Man Ray photogram, rayogram

Man Ray English Version 바로가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