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Art “Disobedience II (2025)”

 

Performance Art: Disobedience II (2025) 

“Disobedience II (2025)” is a performance-based photography project that explores “Han (한)”—a deep-seated resentment within Korean cultural identity—through the performance of unfired ceramic pots and digital photographic representation. ”Han (한)“ embodies suppressed anger, particularly among women, as a result of inescapable circumstances such as the Korean War and Japanese colonization. Inspired by the Korean proverb, “A woman carrying resentment can have frost even in midsummer,” my body expresses the duality of an outwardly calm and composed appearance while harboring deep-seated anger and resentment.

In my project, I photograph myself wearing white traditional paper Hanbok, putting plastic clay on thin Mulberry paper and stepping on clay. I was born and raised in South Korea until I was 16, when my family abruptly immigrated to Canada. Without fluency in English, this unexpected move caused immense trauma. I found myself unwilling to engage with my new environment, unable to adapt, and burdened by the grief of displacement. The language barrier and experiences of bullying deepened my feelings of weakness and depression. However, in my journey towards resilience, I discovered that art could help me confront my turbulent memories. Disobedience II (2025) explores the symbolic elements of the white traditional clothing Hanbok, Korean jars, and the expressive body movements associated with Han (한) that represent sorrow from oppression within Korean identity.

In Disobedience II (2025), I connect my personal exploration of cultural identity with the metaphorical significance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nbok, body gestures, and ground clay. I regard the Korean traditional white Hanbok (한복) as a symbol of peace (Lee 289). Beyond representing my cultural identity, the Hanbok also embodies Korean ethnonationalism. The white Hanbok signifies purity and aesthetic value, with its elegant lines hinting at a compliant image of women. During the post-war recovery and decolonization period, the white Hanbok also came to symbolize resistance and defiance (Lee 288). It represented the unity and assertiveness of the Korean people, becoming a symbol of integrity an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ese symbols inspire an exploration of deprivation, where the white Hanbok evokes a sense of restrained desire. To make a white Hanbok, I choose thin Mulberry paper that signifies Korean traditional material. The choice of thin Mulberry paper ties into the traditional Korean calligraphy culture, “Seoye (서예).” This highly absorbent paper visually conveys the depth of Korean thought, symbolizing identity through its delicate materiality.

In Disobedience II (2025), clay plays a crucial role in exploring inner sensibilities. The tactile interaction between my hands, feet, and the pliable clay fosters a therapeutic dialogue that aids in emotional regulation. As Che states, “Clay has a persistent, hidden memory. When reshaped, it remembers its past” (19). Working with clay allows unconscious emotions to surface, translating them into a visible form. The characteristics of clay and the state of my mind resemble the traces that accumulate over time.

The process of wheel-throwing a jar is deeply connected to Korean history, particularly the “Moon jar,” an iconic object from the late 18th-century Joseon Dynasty. The Moon jar’s asymmetric beauty represents a cultural form that I explore through wheel-throwing, expressing Korean identity through the medium of clay. This practice evokes a sense of biological stability and euphoria, enriching my emotional exploration.

The project also delves into the concept of Han (한)—a profound feeling of stifled ambitions and deep-seated resentment. Han arises from historical tragedies such as foreign invasions, colonization, civil war, and internal divisions (Gunnars 450-451). In Korea, many women historically sacrificed their well-being for familial survival. The Hanbok and famine makeup symbolize their grief. The expressive gestures of throwing and stepping on clay pots embody the anger inherent in “Han (한)”. I choose the “Moon Jar” and mud clay simultaneously in my performance to trace the body’s gestures, specifically the movements of the feet, as they interact with “Han”, reflecting the trauma and resistance shaped by the Korean War and Japanese colonization. Through these physical gestures, I confront my concealed trauma from immigration in Canada, affirming my identity through bodily expression.

Recognizing cultural conditioning through identity art is a significant journey, marking the early steps of my artistic career post-graduation and beyond. Disobedience II (2025) engages with latent emotions and possibilities, serving as an experimental phase in my art practice. I hope this uninhibited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will open doors to further artistic discovery and growth.

“불복종 II (2025)” 퍼포먼스 설명

“불복종 II (2025)”는 퍼포먼스 기반 사진 프로젝트로, 가마에서 구워지지 않은 도자기 항아리와 디지털 사진 표현을 활용하여 한국 문화 정체성에 내재된 깊은 원한인 “한(恨)”을 탐구한다. “한(恨)”은 특히 여성들이 겪어온 억눌린 분노를 의미하며, 이는 한국 전쟁과 일본 식민 지배와 같은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한국 속담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에서 영감을 받아, 나는 겉으로는 차분하고 단정해 보이지만, 내면에는 깊은 분노와 원한을 품고 있는 이중성을 몸으로 표현한다.

내 프로젝트에서 나는 하얀 한지 한복을 입고, 얇은 종이에 점토를 바르고, 그것을 밟으며 스스로를 촬영한다. 나는 16살까지 한국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가족이 갑작스럽게 캐나다로 이민을 가게 되었다.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한 채 맞이한 이 예상치 못한 변화는 큰 트라우마를 남겼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소외감을 느꼈으며, 이주로 인한 상실감에 짓눌렸다. 언어 장벽과 따돌림의 경험은 나의 무력감과 우울함을 더욱 심화시켰다. 하지만, 나의 회복 과정에서 예술은 내 혼란스러운 기억을 마주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불복종 II (2025)”는 하얀 전통 한복, 한국 도자기, 그리고 “한(恨)”과 연결된 몸짓을 통해 한국 정체성 속 억압의 슬픔을 상징적으로 탐구한다.

“불복종 II (2025)”에서 나는 한국 전통 의상인 한복, 몸짓, 그리고 점토를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탐구하고 이를 은유적으로 연결한다. 한국의 전통적인 하얀 한복은 평화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Lee 289). 한복은 단순히 나의 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민족주의적 의미 또한 내포하고 있다. 하얀 한복은 순수성과 미적 가치를 상징하며, 그 우아한 선이 여성의 순응적인 이미지를 암시한다. 하지만 전후 복구와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하얀 한복은 또한 저항과 반항의 상징이 되었다 (Lee 288). 한국인의 단결과 강인함을 나타내며, 민족적 자존심과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한복은 결핍과 억제된 욕망을 탐구하는 매개체가 된다. 나는 한국 전통 재료를 상징하는 얇은 닥나무 종이로 하얀 한복을 제작하는데, 이 선택은 한국 서예 문화인 “서예(書藝)”와도 연결된다. 이 고도로 흡수성이 강한 종이는 한국적인 사유의 깊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며, 그 섬세한 질감을 통해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불복종 II (2025)”에서 점토는 내면의 감각을 탐구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손과 발이 점토와 직접 맞닿으며 촉각적 상호작용을 이루는 과정은 감정을 조절하는 치료적 대화로 작용한다. Che는 “점토는 끈질긴 숨겨진 기억을 지니고 있다. 형태가 바뀌어도 과거를 기억한다” (19)고 말한다. 점토를 다루는 과정은 무의식적인 감정을 표면으로 떠오르게 하며, 이를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시킨다. 점토의 특성과 내면의 상태는 오랜 시간 쌓인 흔적을 닮아 있다.

도자기를 물레로 빚는 과정은 한국 역사와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조선 후기 18세기의 대표적 도자기인 “달항아리”와 연결된다. 달항아리의 비대칭적인 아름다움은 내가 점토 작업을 통해 탐구하는 문화적 형태이며, 한국적 정체성을 점토라는 매체를 통해 표현하는 방법이다. 물레 작업 과정은 생물학적 안정감과 희열을 불러일으키며, 나의 감정적 탐구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한(恨)”의 개념을 깊이 탐구한다. 은 좌절된 욕망과 깊은 원한의 감정을 의미하며, 이는 외세의 침략, 식민 지배, 전쟁, 내부 갈등 등의 역사적 비극에서 비롯된다 (Gunnars 450-451). 한국 사회에서 많은 여성들은 가족의 생존을 위해 희생을 감내해야만 했다. 한복과 화장(창백한 분칠)은 그들의 슬픔을 상징한다. 점토 항아리를 던지고 밟는 행위는 한(恨) 속에 내재된 분노를 몸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나는 달항아리와 진흙상태인 점토를 함께 활용한 퍼포먼스를 통해 발의 움직임을 강조하며, 이 과정에서 한국 전쟁과 일본 식민 지배로 형성된 트라우마와 저항을 드러낸다. 이러한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 나는 캐나다 이민으로 인해 억눌려 있던 개인적인 트라우마를 마주하고, 몸의 움직임을 통해 정체성을 확인한다.

정체성을 탐구하는 예술은 문화적 조건화를 인식하는 중요한 과정이며, 이는 나의 예술적 경력의 초기 단계이자 새로운 도전이다. “불복종 II (2025)”는 억눌린 감정과 가능성을 탐구하며, 나의 예술에서 실험적 시도를 담고 있다. 나는 이 작업을 통해 한국적 정체성을 거침없이 표현함으로써, 더 깊은 예술적 발견과 성장을 위한 문을 열 수 있기를 바란다.

Bibliography

ArtsKoreaTV. “한 (Han).” YouTubeyoutu.be/kellIInqzqo?si=2D2dCR32G77rrTkg. Accessed 4 Feb. 2025.

Che, Xinwei. “Inhabiting Time: Holding Material Time through Performance.” Google Drive, Google, Accessed 28 Jan. 2025.

Che, Xinwei. “Maintenance in progress” 2021,

www.xinwei-c.com/#/maintenance-in-progress/. Accessed 14 Jan. 2025.

Gunnars, Kristjana. “The Discourse of Korean Han: Background and Historical Landscape.”

Korean Studies, vol. 48, Jan. 2024, pp. 449–76. EBSCOhosthttps://doi.org/10.1353/ks.2024.a931009.

Lee, Yeseung. “The White-Clad People: The White Hanbok and Korean Nationalism.”

Cultural Dynamics, vol. 34, no. 4, Nov. 2022, pp. 271–96. EBSCOhosthttps://doi.org/10.1177/09213740221117811.

“Moon Jar: Korea: Joseon Dynasty (1392–1910).”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45432#:~:text=Moon%20jar-,Korea,example%20has%20a%20 unique%20 shape. Accessed 21 Jan. 2025.

Nanibush, Wanda. “Clay on Stone: Rebecca Belmore.” Rebecca Belmore,

www.rebeccabelmore.com/clay-on-stone/. Accessed 14 Jan. 2025.

Surl, Hayun. “Onggi through the Ages.” Default,

ceramicartsnetwork.org/ceramics-monthly/ceramics-monthly-article/onggi-through-the-ages#. Accessed 21 Jan. 2025.

 

Explore Michelle’s previous work “Disobedience (2024)”

performance art, art, artist proposal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