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Statement
My work explores inner anxiety and expresses defiance as a form of healing, rooted in cultural identity. Over the past five years, I have focused on revealing my sense of self through art, diving deeply into personal introspection while questioning the comfort zones imposed by modern society. As a Korean artist today, I’ve come to recognize my past tendency to avoid challenges and follow the so-called “safe” paths chosen by many. This aversion to change is particularly prominent in cultural contexts and can be traced back to historical survival experiences such as the Korean War, foreign invasions, and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Amid these upheavals, the Korean people inherited a deep-seated emotion known as Han (한) — a collective feeling of unresolved grief and suppressed resentment that has been culturally internalized over generations.
Within this context, my artistic practice spans ceramics, photography, and performance art, expanding on the exploration of abstract gestures that follow the movements of the body. The traces I create — what I call “abstract” gestures — are deeply rooted in Surrealism and Abstract Expressionism, where bodily motion becomes a tool to access the unconscious. Jennifer Mundy describes Surrealist art as an exploration of “energy unbound by the unconscious” (Mundy 27), emphasizing spontaneity in the creative process. Likewise, my work is closely connected to sensory experience: I emphasize what I feel and touch — texture, softness, roughness, warmth — and allow these sensations to be absorbed into my body. I then translate these invisible emotions into physical marks through intuitive movement.
My art seeks liberation from oppression. Through spontaneous bodily actions — such as rubbing, throwing, and leaving physical imprints — I form symbolic expressions of the unconscious. These actions often evoke sensations of stress, release, and freedom. Such emotional states, encountered through the journey of artistic exploration, lead to unexpected outcomes that not only deepen my understanding of the self but also expand into a broader response to society and the present moment.
작가의 말: 홍나연
내 작업은 내면의 불안을 탐구하며, 문화적 정체성과 연결된 치유의 방식으로서의 ‘반항’을 표현한다. 지난 5년간 나는 자아 정체성을 드러내는 작업을 통해 나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았으며, 이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의 안락한 틀을 깨고자 하는 과정을 고찰해왔다. 오늘날 한국인 예술가로서, 나는 과거에 새로운 도전에 소극적이었으며, 이른바 ‘안전한’ 길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었음을 자각한다. 이러한 변화 회피적 성향은 문화적, 역사적 배경과도 깊이 연결되어 있다. 한국전쟁, 외세의 침략, 38선의 형성과 같은 격변의 역사 속에서 한국인들은 ‘한(恨)’이라는 억눌린 정서를 지니게 되었고, 이는 피할 수 없는 고난에서 비롯된 깊은 문화적 유산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감정의 맥락 속에서, 나의 작업은 도자기, 사진, 퍼포먼스 아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신체의 움직임과 연결된 추상적 제스처를 탐구한다. 내가 말하는 ‘추상적’ 흔적은 초현실주의와 추상 표현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무의식과 감각에 기반한 즉흥적 표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제니퍼 먼디(Jennifer Mundy)는 초현실주의가 “무의식 속에 얽매이지 않은 에너지”(Mundy 27)를 창작 과정에서 어떻게 즉흥적으로 풀어내는지를 설명한다. 나 또한 감각적 경험을 예술의 중요한 출발점으로 삼는다. 질감, 온기, 거칠음과 부드러움 등 촉각적 요소들을 신체로 느끼고 받아들이며, 보이지 않는 감정들을 수집해 그것이 움직임으로 이어질 때, 나는 그것을 흔적으로 전환해낸다.
나의 예술은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지향한다. 문지르기, 던지기, 신체 흔적 남기기 등 즉흥적인 신체 행위는 무의식의 상징을 만들어내며, 그 과정에서 스트레스와 해방감, 자유로움의 감정이 발생한다. 이러한 감정은 작업의 흐름 속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로 이어지며, 나 자신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시대와 사회에 응답하는 예술로 확장된다.
Works Cited
Gunnars, Kristjana. “The Discourse of Korean Han: Background and Historical Landscape.”
Korean Studies, vol. 48, Jan. 2024, pp. 449–76. EBSCOhost, https://doi.org/10.1353/ks.2024.a931009.
Lee, Yeseung. “The White-Clad People: The White Hanbok and Korean Nationalism.”
Cultural Dynamics, vol. 34, no. 4, Nov. 2022, pp. 271–96. EBSCOhost, https://doi.org/10.1177/09213740221117811.
Mundy, Jennifer, et al. “Surrealism : Desire Unbound” / Edited by Jennifer Mundy ; Special
Advisor, Vincent Gille ; Consultant Editor, Dawn Ad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EBSCOhost, research.ebsco.com/linkprocessor/plink?id=f29bc37c-0507-399b-9407-704597623a22.
참고 문헌
- Gunnars, Kristjana. “한국의 한(恨)에 대한 담론: 배경과 역사적 조망.” Korean Studies, 제48권, 2024년 1월, pp. 449–76. EBSCOhost, 링크.
- Lee, Yeseung. “백의민족: 백색 한복과 한국 민족주의.” Cultural Dynamics, 제34권, 4호, 2022년 11월, pp. 271–96. EBSCOhost, 링크.
- Mundy, Jennifer 외. 초현실주의: 욕망의 해방 / 편집: Jennifer Mundy; 특별 자문: Vincent Gille; 컨설팅 편집: Dawn Ades. 프린스턴 대학 출판사, 2001. EBSCOhost, 링크.
앞으로 좋은 작품과 활동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