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obedience (2024)” Performance Art
Copyright 2024. Nayeon Hong All rights reserved. ⓒ 2024. Nayeon Hong All rights reserved. (c) 2024. Nayeon Hong All rights reserved.
“Disobedience (2024)” is a performance-based photography project in my ambitious investigation to connect yellow with Korean identity. I was born and raised in South Korea until I was 16. My family abruptly immigrated to Canada without the ability to speak English fluently. The unexpected immigration caused me tremendous trauma, and I was unwilling to talk and live in a new environment. At that time, I was unable to avoid my surroundings because of my patriarchal family. Within this distressing trauma like the language barrier and bullied from others, I feel discouraged thinking of a weak existence. From harassing thoughts, I wanted to reveal my toughness through my body gestures as an artwork. I explored my hostility in my inner mind in the term “disobedience”. Disobedience has significant meanings in white Hanbok, the colour yellow and body gesture performance.
I recognize the Korean traditional white clothing “Hanbok(한복)” as a symbol of resistance (Lee 1). Not only does the Hanbok represent my identity of cultural conditioning, but it also symbolizes Korean ethnonationalism. White Hanbok represents purity with the aesthetic value itself. The shape of the Hanbok contains beautiful lines but implies a compliant figure of a woman. Because of the sensorial properties of the Hanbok, the Japanese attempted to eliminate white Hanbok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in 1910 (Lee 7). From that, I observe defiant strength from colonized society. I chose Hanbok to represent tenacity from toughness and encounter the history of Koreans trying to preserve their clothing.
“Disobedience (2024)” investigates the yellow colour in my experimentations. I face stereotypes in my contemporary life. Go to a university, have a job, and make tremendous money to be successful. I observe these trite thoughts as yellow because they recognize a warning colour that coexists with a passive, static gesture (Cardullo 191). Yellow was also associated with jealousy, envy and hatred, related to a medieval theory of humor (Costantini 584). Yellow easily smudges into my life without notice, even if I do not have an opinion. I try to investigate the track of losing voice by brushing yellow to the background towards the subject. I explore the yellow building on my body movements and gestures. With my hand and foot, I confront the raw face of social pain. By painting yellow directly with my hands and feet and brushing on a white background, I convey the dynamicity of my feelings towards subservient conditions.
Performance “Disobedience (2024)” plan for body gesture signifies hostility towards resistless society. The representation of a thin Mulberry paper Hanbok wearing with female makeup expresses an innocent image of my identity that complies with society. Then, I play with the action marks that I impulsively make. The impulsive marks signify my resistance to external sermons from elderly people. At the end of the performance, I deliver a reversal effect to the audience by breaking Hanbok apart, representing my persistence.
By determining to express my inner problem dealing with trauma, the performance “Disobedience (2024)” interacts with my body with the artistic approach as a healing method. I expect to experiment with uncontrolled beautiful marks and how they will collaborate with my body in Hanbok.
《Disobedience (2024)》는 ‘노랑’이라는 색을 한국인의 정체성과 연결하고자 하는 야심찬 탐구 속에서 수행된 퍼포먼스 기반 사진 프로젝트입니다.
저는 16살까지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갑작스럽게 영어를 유창하게 하지 못한 채 캐나다로 이민을 가게 되었습니다. 예고 없이 닥친 이민은 제게 큰 트라우마로 남았고, 저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말하기를 거부하며 적응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가부장적인 가족 안에서 주변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은 더욱 고통스러웠습니다. 언어 장벽과 타인으로부터의 따돌림 속에서, 저는 점점 존재 자체가 무기력하다고 느끼게 되었고, 이런 억압적인 사고들 속에서 오히려 제 내면의 강인함을 몸짓으로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저의 내면에 자리한 적대감을 ‘불복종(disobedience)’이라는 개념을 통해 탐색합니다. 불복종은 흰 한복, 노란색, 그리고 신체 퍼포먼스를 통해 중요한 상징성을 갖습니다.
저는 한국 전통 의복인 흰색 한복을 하나의 저항의 상징으로 인식합니다 (Lee, 1). 한복은 저의 문화적 조건화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한국 민족주의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순백의 한복은 미적 가치와 함께 순수함을 상징하며, 아름다운 선을 지닌 형태는 동시에 여성의 순종적인 형상을 내포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감각적 특성 때문에 일제강점기 일본은 1910년 무렵 흰색 한복을 금지하려 하였습니다 (Lee, 7). 저는 이 역사에서 식민 지배에 맞선 단호한 저항의 힘을 목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복을 ‘강인함과 인내’의 상징으로 선택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노랑’이라는 색에 대한 실험을 포함합니다. 저는 현대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강요되는 고정관념—대학에 가고, 직장을 갖고, 돈을 많이 벌어야 성공한다는—에 마주하며 살아갑니다. 저는 이러한 진부한 생각들을 경고의 색이자 수동적이고 정적인 제스처와 공존하는 색으로 노랑에 투영합니다 (Cardullo, 191). 또한 노랑은 중세의 체액 이론에서 질투, 시기, 증오와 연결되어 왔습니다 (Costantini, 584). 노랑은 제 의지와는 무관하게 조용히 제 삶에 스며들었고, 저는 목소리를 잃어가는 궤적을 추적하기 위해 화면 배경에서 인물 쪽으로 노란색을 브러시로 쓸어 넣습니다.
신체의 움직임과 제스처 위에 구축되는 노랑을 통해, 저는 사회적 고통의 민낯을 마주합니다. 손과 발을 이용해 노란색을 직접 바르고, 흰 배경 위에 충동적인 흔적을 남기며 복종의 조건에 대한 저의 감정을 역동적으로 전달합니다.
퍼포먼스 《Disobedience (2024)》는 수동적인 사회에 대한 적대감을 신체 제스처를 통해 표출합니다. 얇은 한지 한복을 입고 여성 메이크업을 한 채 시작하는 퍼포먼스는 사회에 순응하는 제 정체성의 순수한 이미지를 보여주며, 그 위에 충동적으로 남긴 흔적들은 나이 든 이들로부터 받는 외부의 설교에 대한 저항을 상징합니다. 퍼포먼스의 마지막에는 한복을 해체하는 행위를 통해, 관객에게 반전된 시각적 충격을 주며 저의 끈질긴 저항 의지를 전달합니다.
트라우마라는 내면의 문제를 예술적 방식으로 드러내기로 결심하면서, 《Disobedience (2024)》는 저의 신체와 예술이 만나는 치유적 실천이 됩니다. 저는 통제되지 않은 아름다운 흔적들과 한복을 입은 제 몸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를 실험하고자 합니다.
Bibliography
“Alexander McQueen Spring/Summer 1999.” Edited by Couture Daily, YouTube, YouTube,
www.youtube.com/watch?app=desktop&v=ErE7O5NceGQ. Accessed 13 Nov. 2024.
Cardullo, R.J. “Wassily Kandinsky’s The Yellow Sound as a Total Work of Art: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Journal of Modern Literature, vol. 41 no. 4, 2018, p. 1-17. Project MUSE, https://dx.doi.org/10.2979/jmodelite.41.4.01.
Costantini, Giovanna L. “Yellow: The History of a Color.” Leonardo, vol. 53, no. 5, Oct.
2020, pp. 584–85. EBSCOhost, https://doi.org/10.1162/leon_r_01948.
Lee, Yeseung. “The White-Clad People: The White Hanbok and Korean Nationalism.”
Cultural Dynamics, vol. 34, no. 4, Nov. 2022, pp. 271–96. EBSCOhost, https://doi.org/10.1177/09213740221117811.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Hammer Museum,
hammer.ucla.edu/exhibitions/2024/only-young-experimental-art-korea-1960s-1970s. Accessed 13 Nov. 2024.
Explore more artist’s works: Disobedience II (2025)
홍나연 작가의 “불복종 II (2025)”도 방문해보세요.